맨위로가기

세르게이 고르시코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게이 고르시코프는 러시아 제국의 해군 제독으로, 1910년 우크라이나에서 태어나 모스크바에서 성장했다. 1927년 프룬제 군사 아카데미를 졸업하고 소련 해군에 입대하여 태평양 함대, 흑해 함대 등에서 복무하며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종전 후 해군 부사령관, 흑해 함대 사령관을 거쳐 1956년 소련 해군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어 해군력 증강을 이끌었다. 그는 냉전 시기 소련 해군의 전략을 수립하고, 대함 미사일과 잠수함, 항공모함 건조를 통해 해군력을 세계 2위 수준으로 성장시키는 데 기여했다. 1985년 국방성 감찰 총감을 역임했으며, 소련 영웅 칭호를 2회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비에트 연방함대사령관 - 니콜라이 쿠즈네초프
    니콜라이 게라시모비치 쿠즈네초프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소련 해군을 지휘한 해군 원수로서, 독일의 침공에 대비하여 해군에 전투 준비 명령을 내리고 흑해 전역에서 상륙 작전을 지휘하여 제해권 확보에 기여했으며, 그의 공로를 기려 그의 이름은 러시아 해군의 항공모함에 붙여졌다.
  • 1급 우샤코프 훈장 수훈자 - 버트럼 램지
    버트럼 램지는 1883년 런던에서 태어나 제1차 및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됭케르크 철수 작전을 지휘하고 노르망디 상륙 작전의 해군 원정군 사령관을 역임한 영국의 해군 장교이다.
  • 1급 우샤코프 훈장 수훈자 - 니콜라이 쿠즈네초프
    니콜라이 게라시모비치 쿠즈네초프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소련 해군을 지휘한 해군 원수로서, 독일의 침공에 대비하여 해군에 전투 준비 명령을 내리고 흑해 전역에서 상륙 작전을 지휘하여 제해권 확보에 기여했으며, 그의 공로를 기려 그의 이름은 러시아 해군의 항공모함에 붙여졌다.
  • 카미야네치포딜스키 출신 - 미콜라 바잔
    미콜라 바잔은 20세기 우크라이나의 시인, 작가, 번역가, 저널리스트, 정치인이며, 미래파 문학 운동에 참여하고 표현주의, 낭만주의, 바로크 예술을 결합한 독특한 스타일을 개발했으며, 소련 국가상 등을 수상하고 우크라이나 작가 연맹을 이끌었으며 우크라이나 SSR 국가의 공동 저자이다.
  • 카미야네치포딜스키 출신 - 이리나 메를레니
    우크라이나 여자 레슬링 선수 이리나 메를레니는 올림픽 금메달과 동메달, 세계 선수권 및 유럽 선수권 우승 등 뛰어난 업적을 남겼으며, 과격한 플레이 논란에도 불구하고 여자 레슬링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세르게이 고르시코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세르게이 고르시코프
1982년과 1983년 사이의 고르시코프
출생 이름세르게이 게오르기예비치 고르시코프
출생1910년 2월 26일
출생지러시아 제국 카메네츠-포돌스키 (현재의 우크라이나)
사망1988년 5월 13일
사망 장소소비에트 연방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모스크바
별칭(없음)
군사 경력
복무 연도1927년–1985년
최종 계급소비에트 연방 해군 원수
지휘아조프 소함대
도나우 소함대
흑해 함대
소련 해군
주요 전투하산호 전투
제2차 세계 대전
훈장소비에트 연방 영웅 (2회)
경력
직책소련 해군 총사령관
임기 시작1956년 1월 5일
임기 종료1985년 12월 9일
이전니콜라이 쿠즈네초프
이후블라디미르 체르나빈

2. 성장

세르게이 고르시코프는 1910년 러시아 제국 카미야네치포돌시키(현 우크라이나 카미아네츠포돌스키)에서 태어나 모스크바주의 콜롬나에서 성장했다. 1926년 레닌그라드 대학교 물리 수학과에 입학했으나, 1927년 프룬제 군사 아카데미로 편입하였고 소련 해군에 입대했다. 1931년 프룬제 군사 아카데미를 졸업한 후 흑해 함대(당시 흑해 해군)에서 경비함 프룬제/Фрунзеru의 감시 장교로 복무를 시작했다. 한 달 만에 항해사가 되었고, 1932년 3월 태평양 함대로 전출하여 기뢰 부설함 톰스크/Томскru에서 같은 직책을 맡았다. 1934년 1월, 함대의 기뢰 부설 및 소해 여단 기함 항해사로 진급한 고르시코프는 그해 11월 ''우라간''급 경비함 ''부란''의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 1936년 12월부터 1937년 3월까지 구축함 지휘관 과정을 수료한 후, 구축함 라쟈시/Разящийru의 지휘관이 되었다. 1937년1941년간 해군 지휘관 코스를 졸업해 31살에 최연소 해군 제독이 된다. 1938년 5월에는 태평양 함대 구축함 여단 사령관으로 임명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하산 호 전투에 참여했다. 1940년 6월 흑해 함대 순양함 여단 지휘를 위해 서쪽으로 전출되었다.

3. 제2차 세계대전과 전후

독소전쟁 개시 직후 며칠 동안 고르시코프의 구축함 여단은 흑해 함대의 작전에 참여했다. 고르시코프는 오데사 공방전 동안 그리고리예프카 지역에서 상륙 작전을 지휘했으며, 1941년 10월에는 아조프 해군 함대를 지휘했다. 1941년 10월 아조프 소함대 사령관에 임명된 고르시코프는 케르치 반도 상륙에서 두각을 나타내었다. 1942년 8월, 소련군이 노보로시스크로 철수한 후, 고르시코프는 아조프 해에서 흑해로 탈출하는 함대 150척을 지휘했다. 함대가 해산된 후, 그는 해군 부사령관이 되었고 노보로시스크 방어 지구의 군사 평의회 위원이 되었다. 1942년 9월에 제47군을 임시 지휘하여 노보로시스크를 방어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고르시코프


1943년 2월, 개편된 아조프 함대를 지휘하게 된 고르시코프는 타간로크, 마리우폴, 오시펜코에서 상륙 작전을 지휘했으며, 타만 반도 점령에서 북 코카서스 전선의 병력을 지원했다. 1943년 아조프 소함대에 복귀한 뒤 그해 말에 다뉴브 소함대 사령관에 임명되었다. 1944년 4월 다뉴브 함대 사령관이 된 후, 고르시코프는 8월의 제2차 야시-키시네프 공세에서 부대를 지휘하며, 제3 우크라이나 전선의 병력이 드네스트르 강을 건너 다뉴브 삼각주로 진입하는 것을 지원했다. 9월부터 11월까지 함대는 제2 우크라이나 전선과 제3 우크라이나 전선의 병력을 베오그라드 공세와 부다페스트 공세 동안 지원했다. 1944년 10월 흑해함대 전대 사령관이 되었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1948년~1951년 흑해함대 참모장, 1951년~1955년 흑해함대 사령관, 그리고 1955년~1956년 해군 부사령관을 역임하였다.

4. 재임 시절



1956년 니키타 흐루쇼프에 의해 니콜라이 쿠즈네초프의 후임으로 소련 해군 총사령관 및 국방 차관에 임명되었다. 흐루쇼프 실각 후에도 브레즈네프, 안드로포프, 체르넨코 시대를 거치면서 그 지위를 유지했다.[2]

고르시코프는 소련 해군 총사령관으로 재임하면서 소련 해군을 세계 2위의 해군력으로 성장시켰다. 브레즈네프, 안드로포프, 체르넨코 시절 균형 함대 발전론을 주창하며, 1970년 크반트 연구소를 방문해 소련 해군용 카라트 컴퓨터 개발을 의뢰하는 등 해군 현대화와 해군력 강화에 노력했다. 그는 소련 함대의 전술, 전력 강화, 함선 건조 및 설계 사상 등 모든 해군 분야에 혁신을 가져왔다.

고르시코프는 "필요한 때에 필요한 해역을 장악한다"는 전략을 주창했는데, 이는 대함 미사일과 잠수함의 발달에 기인한 것이었다. 이 전략은 냉전 시기 소련 해군의 정식 교리로 채택되었다.

잠수함 대량 배치와 항공모함 건조를 중심으로 해군력을 증강하여, 1970년대에는 서방과 대등할 정도로 성장시켰다.[2] 이러한 그의 전략은 중국에서 "현대 해군의 아버지", "항모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류화칭에게도 영향을 주었다.[2]

고르시코프와 동독 지도자 에리히 호네커의 회담(1980년)


1962년 4월 24일 함대 제독 계급을 받았으며,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치하에서 대규모 해군 증강을 감독하여 1970년대 후반까지 서방 해군력에 도전할 수 있는 세력을 창출했다. 여기에는 탄도 미사일 잠수함과 항공기에 탑재된 핵무기 채택, 핵 잠수함 및 함재 헬리콥터 개발이 포함되었다. 소련의 군사력을 투사하기 위해 고르시코프는 함선을 장기간 순항시키고 지중해, 대서양, 태평양 및 인도양에 작전 비행단을 창설하여 대양 해군을 구축했다. 그는 1965년 5월 7일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고, 1967년 10월 22일 소련 해군 최고 계급인 소련 함대 제독으로 진급했다. 1982년 12월 21일 다시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다.

1985년부터 국방성 감찰 총감을 역임했다.[2]

5. 대한민국과의 관계

6. 수훈

세르게이 고르시코프는 소비에트 연방 영웅 2회, 레닌상, 소련 국가상을 수상했다. 또한 세바스토폴, 블라디보스토크, 베르댠스크, 예이스크, 세베로드빈스크의 명예 시민이다. 1등 우샤코프 훈장, 1등 쿠투조프 훈장을 포함하여 다수의 소련 및 외국 훈장을 수훈받았다.

고르시코프는 레닌 훈장을 7회 (1953년, 1960년, 1963년, 1965년, 1970년, 1978년, 1982년), 적기 훈장 4회 (1942년, 1943년, 1947년, 1959년) 수훈받았다. 그 외에도 10월 혁명 훈장(1968년), 조국 전쟁 훈장 1등급 (1985년), 적성 훈장, 소련군 조국 봉사 훈장 3등급 (1975년)을 받았다. 1968년에는 명예 무기를 받았다.

외국 훈장으로는 금 조국 공로 훈장 (동독), 샤른호르스트 훈장 (동독), 금 파르티잔 스타 훈장 (유고슬라비아), 수흐바타르 훈장 (몽골), 헝가리 인민 공화국 훈장 1등급 (헝가리),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훈장 1등급 (불가리아), 칼을 든 성 알렉산더 훈장의 대십자 (불가리아)를 수훈받았다.

콜롬나노보로시스크에는 고르시코프의 기념비가 세워졌으며, 모스크바의 러시아 해군 본부 건물과 흑해 함대 본부 건물에는 기념 명판이 있다. 해군 중앙 병원, 1926년에 졸업한 콜롬나의 9번 학교, 구역 내의 거리 및 학교, 쿠파브나 소구역, 발라시하, 모스크바주의 거리 및 체육관, 노보로시스크의 리세와 소구역, 해군 중앙 스포츠 클럽 등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06년에는 러시아 해군에서 아드미랄 고르시코프 훈장이 제정되었다. 아드미랄 고르시코프 (인도에 판매 후 INS 비크라마디티야로 개명)와 러시아 호위함 ''아드미랄 고르시코프''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7. 저서

세르게이 고르시코프는 여러 저서를 남겼다. 주요 저서로는 『국가의 해양력』(Морская мощь государства)이 있으며, 이 책은 국내외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책이다. 이 외에도 『함대 전열에서』 (Во флотском строю; 로고스, 1996년), 『소련 해군 전략』 (미야우치 쿠니코 역, 원서방, 1978년, 논문 "전시와 평시의 해군" 번역, 개정 신판 『고르시코프 러시아·소련 해군 전략』 (미야우치 쿠니코 역, 원서방, 2010년, 탄생 100주년 기념 출판))이 있다.

참조

[1] 서적 Guide to the Soviet Navy
[2] 논문 China’s Aircraft Carrier Dilemm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